카테고리 없음

최저시급을 기준으로 한 주간 2교대 근무 급여 계산

jungbotalktalk 2025. 5. 22. 01:12

 

최근 우리나라에서 최저시급은 2023년 기준으로 9,620원입니다.

 

최저시급이란 고용주가 법적으로 지급해야 하는 최소한의 시간당 급여를 의미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주간 2교대 근무와 특근을 포함한 사례를 통해 한 달 급여를 어떻게 계산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주간 2교대 근무 시간과 근무 형태

 

주간 2교대 근무란 일반적으로 두 개의 교대 시간으로 나누어져 운영되는 근무 형태를 의미합니다.

 

여기서는 06:00~15:00과 15:00~24:00 두 타임을 기준으로 삼습니다.

 

1.하루 근무 시간: 9시간 (점심시간 포함, 1시간은 휴게시간으로 비급여 포함)

2.주간 근무 일수: 주 5일 기준

3.주 근무 시간: 45시간 (5일 x 9시간)

 

업무 특성상 주간 2교대는 야간근무 형식이 아니므로 야근 수당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 특근 수당 계산

 

특근을 한달에 4번 진행한다고 가정합니다.

 

특근이란 통상적인 근무 시간 외에 추가로 근무하는 시간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주말에 이루어질 가능성이 크고 별도의 추가 수당이 적용됩니다.

 

1.특근 1회당 근무 시간: 9시간

2.특근 근무 횟수: 4회 (9시간 x 4회 = 36시간)

 

특근 수당은 기본 시급의 1.5배가 적용됩니다.

 

이를 통해 특근에 해당하는 급여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 급여 계산

 

다음은 기본 근무와 특근을 포함한 전체 급여를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1.기본 월급 계산

   • 주 45시간 * 4.345주 = 195.525시간 (월 평균)

   • 기본 월급 = 195.525시간 x 9,620원 = 1,880,542원

 

2.특근 수당 계산

   • 특근 36시간 x (9,620원 x 1.5) = 519,444원

 

3.전체 급여

   • 전체 월급 = 기본 월급 + 특근 수당 = 1,880,542원 + 519,444원 = 2,399,986원

 

💡 결론

 

이와 같이 주간 2교대 및 특근 근무를 기본으로 할 경우, 한 달에 대략 2,400,000원 정도의 급여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실제 급여에는 이 외에도 다양한 수당이나 복리후생 제도가 포함될 수 있으니 반드시 고용주와 협의하여 정확한 급여 명세서를 통해 확인하셔야 합니다.

 

#최저시급 #주간2교대 #특근수당 #급여계산 #근로시간 #한국최저임금 #월급계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