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중도 퇴사자의 연말정산 및 종합소득세 신고 가이드

jungbotalktalk 2025. 1. 27. 11:18

 

2023년부터 2024년 여름까지 계약직으로 근무하다 퇴사하신 이후, 현재 실업급여를 받고 계시며 추가로 근로를 하지 않고 계신 상황에서 연말정산에 대한 걱정이 있으시군요. 계약직 근로자와 아버지께서 대신 연말정산을 하시는 상황에서 어떤 옵션이 있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1.중도 퇴사와 연말정산

 

중도 퇴사자의 경우, 통상적으로 연말정산을 본인이 직접 종합소득세 신고를 통해 처리해야 합니다.

 

연말정산은 주로 정규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는 절차로, 회사가 해주는 것이라서 퇴사 시에는 공제나 기타 부속 서류를 통해 연말정산을 마무리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 중도 퇴사의 경우: 어떻게 신고하나요?

 

중도 퇴사자는 퇴사 시까지의 소득에 대해 회사로부터 원천징수영수증을 발급받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다음 해 5월에 종합소득세를 신고하여야 하며, 이때 연말정산에 해당하는 공제 사항들을 한번에 처리할 수 있습니다.

 

💡 2.연말정산과 종합소득세 신고

 

귀하가 직접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고 공제를 받는 방법이 있습니다.

 

하지만 아버지께서 필요 서류를 제출받아 대신 신고를 하실 수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아버지와 함께 신고를 하게 되면 아래와 같은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아버지와 함께 소득을 합산하여 신고: 이는 아버지께서 일정한 수입을 올리시는 상태라면 더욱 유리할 수 있습니다.

 

특히, 아버지께서 다양한 공제를 받을 수 있는 상황이라면 그러합니다.

   

2.본인이 별도로 신고: 본인이 직접 처리할 경우, 꼭 놓치기 쉬운 개인 공제를 챙기는 것이 중요합니다.

 

본인이 직접 진행할 경우, 온라인으로 국세청 홈택스 서비스를 통해 손쉽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 어느 쪽이 더 이득일까?

 

아버지께서 고액의 소득이 있으신 경우에는 개인적으로 신고하시는 것이 세금 절감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고소득일수록 세율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본인이 직접할 경우 각종 절세 전략을 활용하여 세금 혜택을 최대한 누릴 수 있습니다.

 

💡 3.실업급여와 연말정산

 

현재 실업급여를 받고 있는 상황에서, 실업급여는 비과세 소득이기에 소득세 신고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 실업급여 수령 시 알아두어야 할 점

 

• 실업급여는 비과세에 해당하여 연말정산 시 소득으로 포함되지 않으며, 세금이 발생되지 않습니다.

• 실업급여 수령 전후의 개인 소득이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습니다.

 

이를 염두에 두고 아버지의 소득에 대한 공제 항목을 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문적인 세무 상담을 통해 더 정확한 세금 혜택과 보고 방식을 알아보시길 권장합니다.

 

이를 통해 가장 유리한 연말정산 및 세금 신고를 진행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연말정산 #중도퇴사 #종합소득세 #학자금 #실업급여 #세금신고 #절세전략